드디어 지급되는 긴급재난지원금!!!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이 모두 이루어지고 4일부터 지급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대상은 기존 생계급여,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수급 가구 등 시급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280만 가구가 우선 대상이었는데요.

주민등록표상으로 세대주와 세대원들 모두가 수급자여야 현금으로 받을 수가 있다고 하네요.

사실 신청은 굳이 안 해도 된다고 합니다.

현금 지급이 될 대상은 별도의 방문이나 신청없이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고 행정안전부에서 알렸습니다.

사실 100만원 지급으로 알고 있던 금액은 사실 최대 지급금액입니다.

4인 가구 기준으로 100만원이 지급되며 그 외에는 1인 가구 40만원, 2인 가구 60만원, 3인 가구 80만원이 지급된다고 하네요^^

기초생활수급자들은 계좌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오늘부터 계좌 확인을 하면 될 것 같아요.

수령 시점은 지방자치단체별로 며칠정도 차이가 날 수도 있다고 하니 들어오지 않는다고 해서 조급해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지급이 되어야 하는데도 지급이 늦어진다면 지급 계좌가 해지됐다거나 번호가 다르다던지 아니면 예금주명이 일치하지 않는다던지의 이유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 애매하다 싶은 경우엔 관련 부서로 연락해 미리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습니다.

아무리 늦어도 4일 뒤인 8일까지는 모든 지급을 완료하겠다고 하니 잘 확인해봐야 할 것 같네요 ㅎㅎ

현금 지급 대상이 아닌 사람들은 다른 방법으로 혜택을 받아볼 수가 있는데요!

지역사랑상품권이라던지 선불카드, 신용 체크카드 등의 방법으로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신용 체크카드의 경우 신청 후 2일 정도가 지나면 세대주 명의의 카드로 충전이 된다고 하네요

하지만 세대주가 직접 지원금 신청을 해야하는데 기초생활수급자로 등록된 세대주는 거의다 어르신들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등록을 위해선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이 같은 경우엔 다른 방법으로 신청을 할 수 있게 하던지 해야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공인인증서를 너무 좋아하는 것 같아요 ㅠㅠ

공인인증서가 세상에 나온 건 2001년입니다.

곧 20년이 될 아주 오래된 보안장치인데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이 공인인증서도 좀 더 스마트하게 바뀌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러한 시점을 이용해 '스미싱'을 조심해야한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금 관련한 문자엔 인터넷주소 링크가 들어가있지 않습니다.

링크가 있다면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해킹 사기가 우려됨으로 함부로 눌러선 안 돼요


공인인증서는 대한민국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금전거래를 할 때 인증을 위해 필요한 전자서명으로, X.509 v3 기반으로 인증서를 생성합니다.

1999년 전자서명법이 발효되자 전자정부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 암호학 교수 11명이 모여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연구 도중 상공회의소+행정부를 중심으로 한 축과 금융결제원, 은행, 보험 등 금융업계의 두 파벌로 나뉘었습니다.

이에 따라 전자는 모든 국민의 개인정보를 행정부가 보증하게 되었꼬, 입찰을 통해 사인 발급자로서 한국정보 인증(KICA, Signgate)이 담당하게 되었죠.

즉, 사인의 보증을 공적 주체가 맡게 됩니다.

반면 후자는 금융결제원(yessign)이 발급 주체가 되었고, 은행, 보험회사들이 보증 주체가 되었습니다.

결국 보증을 사적 주체가 하게 되는 셈인데요.

이 경우 금융 거래만 하는 사람만 금융결제원에 기록이 있으므로 대상이 제한되게 되어있습니다.

이는 전자인감이 필요한 공적 증명을 행정부가 맡고, 일반 은행 거래 정도는 금융결제원이 한다는 초기 목표가 있었기 때문에 이뤄진 것인데요....

문제는 1999년 당시엔 전자서명법은 발효되었어도 전자정부법은 아직 없었기 때문입니다 ㅠㅠ

그래서 '전자인감'이라는 개념은 효력 자체가 없었고, 따라서 전자인감으로 인증서를 발급받을 만한 근거도 없었던 것이죠.

그래서 2001년까지 마냥 기다리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먼저 범용 인증서가 상공회의소, 전자정부, 학교를 중심으로 사용되게 되었지만 일반 개인 인증서는 커버할 수 있는 부분이 매우 적어졌습니다.

즉, 개인이 결제하는데 인증서를 발급받고자 한다면, 사인시 사적보증을 서주는 은행의 커버 범위로만 한정되는데다가, 은행간 연동이 안 되었던 것이죠.

이후 타행 인증서를 만듦으로써 서로 연대보증하는 개념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긴 합니다.

이 와중에 은행권에서도 금융결제원(yessign) 자체가 보증을 서는 범용 인증서를 만듭니다.

2001년 전자정부법이 나오기 전 불과 2년 사이에 아수라장이 되어버린 것입니다 ㅠㅠ

2001년이 되어서 전자 정부법이 발효가 되고, 사람들이 대거 공인인증서를 쓰게 되자 불평을 한 건 당연한 일이죠.

결국 전자서명법이 개정됩니다.

오직 정부만 보증 주체가 될 수 있고 보안을 강화시킵니다.

다만 발급을 대행하는 곳을 한국정보인증(KICA), 한국전자인증(crosscert) 등등 여러 회사로 두게 합니다.

개정된 법에 따라 금융결제원(yessign), 은행 및 보험사는 범용인증서를 신규발급할 수 없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인증서들은 범용인증서로 이관이 되었습니다.

2012년 1월 이후 인증서를 발급/갱신하게 되면 기존의 인증서보다 알고리즘이 강화된 인증서로 교체됩니다.

그래도 액티브X 보다는 덜 짜증나는 건 팩트죠

코로나19로 인해 피해가 여전히 많지만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적 거리두기로 단계가 완화됨으로써 청정국가로 발돋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조금만 더 노력해서 완전한 청정국가로 거듭난다면 다시 한 번 대한민국!을 외칠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대한민국처럼 잘 해결 중인 나라는 없거든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