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권에 내려진 해일주의보

10일 부산과 경남의 통영 그리고 창원에 해일주의보가 발효됐습니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9시 50분경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거제, 통영, 창원), 전라남도(고흥)에 폭풍해일주의보를 내렸습니다.

현재 남해안과 제주 해안은 천문조에 의해 파도가 높고, 저기압이 남해 상을 지나면서 기상 조가 더해진 상황입니다.

기상 조는 태풍, 저기압, 고기압이 통과할 때 해면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저기압이 발달할 수록 해수면은 높게 상승하는데요.

기상청은 12일까지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바닷물의 높이가 높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특히, 10일 남해 상으로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기상 조가 더해지는 남해안과 제주도 해안에는 밀물 때에 높은 파도가 해안도로나 방파제를 넘는 곳이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기상청은 "일부 남해안과 제주도 해안에는 폭풍해일주의보가 추가 발표될 가능성이 있고, 해안 저지대는 침수 피해가 우려되니 피해 없도록 특히 유의하기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해일

영어권과 달리 한국에서는 '해일'이라는 일반 명사가 있으므로 지진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일어난 해일을 가리켜서 쓰나미라고 하면 적절치는 않다.

원인은 태풍, 지진, 화산, 산사태, 빙산붕괴, 운석충돌, 기압차 등이 있으며, 이 순서대로 발생하기 쉽다.

대표적인 것으로 지진해일인 쓰나미가 있으며, 운석이 바다에 떨어지면 수백미터 높이의 해일이 해안가를 타격을 줘 육지에 떨어지는 것보다도 위험할 것이라는 시뮬레이션도 있다.

1M 해일은 파도가 1M짜리가 오는 것이 아니라 그림처럼 수면 자체가 1M 높아진 채로 지면에 밀려오는 것을 뜻한다.

해일의 한자는 바다 해(海)에 넘칠 일(溢)로 단지 큰 파도가 아니라 마치 홍수에 강물이 불어나 둑을 넘어 범람하듯 바다의 수위가 해변보다 높아져 바닷물이 윳지로 밀려오는 것을 말한다.

X쳐진 전자의 경우는 따로 '너울성 파도'라고 부르며 보통 바람이 일으킨 수면파 중 좀 큰 것이다.

수심이 얕아짐에 따라 갑자기 파고가 높아지는 특성은 해일과 같지만 파도 하나 정도로 규모가 작다는 게 차이.

방파제를 걷다가 파도에 쓸려 실종된 사건의 범인이 보통 너울성 파도이다.

해일이 파형의 골부터 오는 경우에는 발생하기 전에 조석에 상관없이 썰물이 빠지기 때문에 이것을 보고 해일을 예상할 수 있다.

해일이 발생했다고 물의 양이 늘어나는 게 아니기 때문에 한 쪽이 높아지면 한 쪽이 낮아지는 지극히 간단한 원리다.

때문에 해일의 규모와 쓸려나가는 물의 양은 정비례한다.

역대 가장 높았던 해일은 1958년 알래스카 리튜야 만에서 일어난 산사태로 발생한 해일이었으며 그 높이가 자그마치 524M에 달했다.

가장 자주 발생하는 해일은 태풍의 저기압과 바람 때문에 발생하는 폭풍해일이다.

태풍의 저기압으로 수면이 상승하거나 바다에 강한 바람이 육지 쪽으로 불면 불어난 바닷물이 해변을 넘어 육지로 밀려온다.

해일의 바닷물이 밀려왔다 바다로 빠쪄나가면서 집이고 도로고 해변의 모든 걸 다 쓸어가 버린다.

항구 등 대도시가 해변 가까이에 있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 폭풍해일은 큰 피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미국 역사상 최대의 사상자를 낸 자연재해는 바로 텍사스 겔베스턴시에서 1900년에 일어난 폭풍 해일.

허리케인으로 4.6M 높이의 해일이 해안을 덮쳐 약 8,000명 이상의 사망 실종자가 나왔다..

인구 3만 7,000명 정도로 번영하던 항구 도시가 해일로 도시의 대부분이 사라져 버렸다.

일본 간사이 국제공항도 2018년 제21호 태풍 제비로 인한 폭풍해일로 인해 2018년 9월 4일에 활주로 대부분이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

국내에서 근래에 일어난 가장 대표적인 폭풍해일은 2003년 태풍 매미 당시 창원시(당시는 마산시)를 덮친 폭풍해일.

저기압으로 인한 수면상승에 만조, 강풍이 겹치며 무려 5M 높이의 해일이 덮쳤고, 때마침 마산 시가지의 상당수가 간척으로 이루어진 매립지여서 더더욱 피해가 커졌다.

당시 이 지대는 거의 2층까지 물에 잠겼고, 이 지역에서만 수십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정도로 괴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지진해일은 쓰나미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바람에 의해 형성되는 바닷물의 파동 혹은 조력에 의해 발생하는 조수와는 다르게 큰 물의 부피 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파동으로 바다나 혹은 큰 규모의 호수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쓰나미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지진 혹은 화산과 같이 물을 요동시킬 수 있는 수직적인 힘이 있어야 하며, 수중 폭발, 산사태, 운석 충돌 등을 포함한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쓰나미는 해수의 일반적인 흐름(파동 혹은 조류)와는 다르게 훨씬 긴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는 수 분에서 수 시간 정도의 주기를 가진 파동들로 구성된다.

쓰나미는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해에서는 파고가 크지 않지만, 육지에 다다르면서 수심이 감소하는 환경에서 파고가 매우 높아지게 되고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대표적인 사례로 2004년 인도 수마트라 대지진으로 만들어진 쓰나미는 약 23만명의 사상자를 냈다.

쓰나미의 속도는 바다의 수심에 큰 영향을 받으며 중력 가속도와 수심의 곱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따라서 수심이 깊은 곳에서 쓰나미의 이동 속도는 빠르고,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느리다.

약 5Km의 깊은 수심을 보이는 원해에서 쓰나미는 800Km/h의 속력으로 진행하며 이는 비행기의 속도와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수심이 쓰나미의 파장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쓰나미의 속도는 수심이 얕은 곳에서의 발생하는 물결파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게 계산할 수 있다.

쓰나미가 근해로 접근하면서, 수심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쓰나미의 이동 속도는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쓰나미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매우 크기 때문에 파고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쓰나미는 마치 조석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밀물이 매우 짧은 시간 안에 밀려드는 효과와 유사하다.

원해에서 처음 쓰나미가 발생하면 일정 시간 동안 근해에서는 물빠짐 현상이 발생하지만 그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사람들이 직접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 Recent posts